Live free 햄버거 메뉴

목차

    320x100

     

     

    아르바이트, 임시직, 계약직 등 근로 형태와 관계 없이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놓치지 말아야 할, 근로기준 법에서 정규직과 동일하게 보호를 받는 것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주휴수당인데요,

     

    사업자분들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근로자로서 권익을 놓치지 않기 위해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휴수당 뜻이 무엇인지,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 계산방법,  미지급 시 대응방법 등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주휴수당 뜻

    주휴수당은 근로자(한 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자)가 유급 휴일에 받는 돈을 뜻합니다. 

     

    근로기준법에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일주일 중 평균 1회 이상 유급휴일(주휴일)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기준

    근로형태를 불문하고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라면 해당하는 사항이고,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됩니다.

     

     

    주휴수당 제외되는 경우

    1. 하루라도 결근이 있다면

    2. 근로기간이 일주일 미만이라면

    3.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미만이라면

     

     

     

    주휴수당 계산 방법

    1.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일 경우

    (1주 총 근로시간/ 40시간) X 8시간 X 시급

    2.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일 경우

    8시간 X 시급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일 경우 주휴수당 계산방법은 몹시 간편하게 8시간 곱하기 시급으로 계산하면되나, 

     

    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일 경우 1주 총 근로 시간을 40시간으로 나누고, 8시간을 곱하고 시급을 곱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미 지급 시 사업자 불이익

    주휴수당은 법적으로 보장된 임금이기에 근로자가 정당하게 받지 못할 시 사용자 입장에서 체불 임금이 됩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110조는 모든 사업자에게 강행되는 규정으로서 

     

    지키지 않았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지게 됩니다. 

     

     

    주휴수당 미 지급 시 근로자 대처방법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을 경우 관할 고용노동부에 방문하거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노동부에 진정하여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 주휴수당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주휴수당의 뜻,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미 지급시 대처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눴는데, 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주휴수당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주휴수당계산 #주휴수당계산법 #주휴수당계산하는방법

     

     

     

     

     

    320x100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